티스토리 뷰

 

게스트란정

[Gestran Tab.]

 

오늘은 위장약으로 알려져 있는

게스트란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조사/성분

제조사 : 한국글로벌제약

성분 : 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수화물 5.29mg

 

 

 
해당 약품을 처방 받으셔서

어떠한 성분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게스트란정의 효능, 복용법,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게스트란정은 흰색의 장방형 필름 코팅정의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화관 운동을 촉진시켜 오심, 구토, 가슴쓰림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입니다.

 

게스트란정은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 복용 가능합니다.

 

 

효능/효과

게스트란정은 소화관 평활근 운동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소화관 운동이 촉진되도록 하는 약입니다.

기능성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증상인 속쓰림, 구역, 구토를 치료합니다.

 

 

 

 

 

용법/용량

성인: 1일 15 mg을 3회로 나누어 식전 또는 식후에 경구 투여 합니다.

(소아는 투여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있지 않습니다.)

 

복용을 잊은 경우는 생각난 즉시 복용하시면 됩니다만,

다음 복용 시간이 가까운 경우에는 기다렸다가 다음 복용 시간에 드시기 바랍니다.
절대 다음 복용시간에 두배로 드시면 안됩니다.

 

 

사용시 주의사항

1. 일반적 주의
일정기간(보통 2주) 투여하여도 소화기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 장기간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상호작용
이 약의 소화관운동촉진작용은 콜린작동성 신경과의 관련성으로 인해 항콜린제(황산아트로핀, 부틸스코폴라민브롬화물 등)와 병용 투여시 이 약의 작용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복용 간격을 두는 등 병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3.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의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동물실험에서 모유 중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수유 중에는 투여를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합니다.

 

4.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 투여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있지 않습니다.

 

5.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에서는 신기능, 간기능 등의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반응이 발현된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을 통해 감량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합니다.

 

6.저장상의 주의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부작용

 설사,구갈,권태감

간염, 간기능 장애, 황달

발진, 두드러기, 부종

복부팽만감, 구강마비

설사, 복통, 구역, 구토, 미각이상

어지러움, 권태감

 

 

주요한 이상반응으로는 설사,구갈,권태감 등이 있습니다.


1. 중대한 이상반응
전격성간염, 간기능 장애와 황달(각 0.1 %미만) : 전격성간염, 현저한 AST, ALT, γ-GTP의 상승 등을 동반한 심각한 간기능 장애,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사망에 이른 예도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2. 기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과민반응 : 발진, 두드러기, 때때로 부종

(2) 혈액계 : 때때로 호산구증가, 백혈구감소
(3) 소화기계 : 복부팽만감, 구강마비(혀와 입술을 포함), 때때로 설사, 묽은변, 구갈, 복통, 구역, 구토, 미각이상
(4) 간장 : 때때로 ALP의 상승, 빌리루빈상승, ALT 상승. 드물게 AST, γ-GTP의 상승
(5) 순환기계 : 때때로 심계항진
(6) 정신신경계 : 때때로 어지러움, 휘청거림, 두통
(7) 기타 : 진전, 때때로 권태감, 중성지방의 상승

 

게스트란정은 간에 무리를 주거나 피부 발진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간수치가 높은 사람, 피부 발진 이나 과민증이 있는사람,

심계항진의 이상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미리 의사나 약사에게 알리셔야 합니다.

꼭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